* Icebreaking: 약간 슈카 느낌? - 홍용환 실장님 - Good speaker...직전 5년 17%, 상반기 21% 보다 못하면, 못한거... (but 최하점 to 최하점 기준이니 너무 비난 X)
- 미국 상황, The Magnificent 7 will get the price correction. It maybe the good time to buy.
- Tesla: 그래도 모델Y 1등이니 오름
- Meta: AD +27% Y/Y $35.6B...
- nVidia: Data Center $10.3B +141%Q/Q (반도체 파운드리 포함), gaming, ETC
- 설계하면 제조는 TSMC가 하는데, 현재 TSMC가 소화 못하는 중. 갑자기 생산 라인 늘렸다가 수요 줄면 엄청 손해볼 수 있어, 조심스러움. 수요는 현재까지는 엄청 많음.
- Apple: iPhone 16?! 단말기 판매가 주 매출. (아이폰 살 바에야, 애플 주식 사는게?!)
- Google: SA $46.2B +14% Y/Y + YT $8.1B +21%Y/Y + AdMob > Total AD
- Top AD in the US = Google search, YT ads, Meta, Amazon AD ($11.8B +24%Y/Y)
- Cloud Infta M/S = aws 31%, azure 25%, GCP 11%, Alibaba cloud 4%
- MS = azure $24.8B +24%Y/Y, Office $13.9B 12%Y/Y, gaming, windows, Linkedin, Search, Other.
- S&P 500 = 주로 나스닥 (IT성장주) 영향이 큼, 24Y1H 15%
- 러셀 2000 선물 index, 19Y24Y=43%
- 필라델피아 반도체 index, 1Y 300%
- 유가: WTI유
- 환율: 1Y +9%나 올랐다 (원/달러) ㅎ기준 1388.90 KRW/USD
- 물가: 안좋음, 많이 오름.
- 투자할 때 실질금리 중요; 실질금리 = 명목금리 - 물가
- 현금 들고 있을 때, 물가만큼 손해보는데, 현재 통계청, 기대인플레이션 3% 임.
- 현재 적금 금리 (세후 수익율) 케이뱅크 3.55%로 제일 높음 (1금융) = 실질금리 = 0.55%
- 점점 투자를 잘 해야만 하는 시기. 통화 가치의 하락 (유동량 및 경제/인구/수요/공급/라이프스타일)
- 코스피 1Y 7.5% > 국내 주식 하지 마! 나의 수익을 위해서는 안하는게 좋아. 파고들수록 안할 이유가 늘어남. 전세계 GDP 규모에서 USA $26.9T, CHN $19.4T, JPN/CND = 70%
- 시가초액 기준으로는 미국이 제일 큼
- 미국으로 가야함. 금융에서는 그럼. 돈 찍어내고 돈 빌리고, 유동성 공급할 수 있는 현재 탑1
- 트럼프 내년에서 유가를 낮출 가능성 큼 (물가가 높아서, 유가라도 낮춰야 함)
- 주택 가격: 최근 좀 오름.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대출 받아 삼.
- 서울 평균가 10억원.
- 가계/자영업자 대출 주의. 취약차주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 24Y1Q 10% 넘어섬.
- 대출 부실 생각하면 금리 내려야 하는데, 그럼 집값이 올라서 한국은행 고민 크다.
- 금리 내린다고 하니, 고평가된 빅테크 팔아 수익실현하고, 중소주 사자는 움직임으로, 뉴스에 빅테크 주욱 빠졌었다.
- 채권 가격: 바이든 때 채권 좋았음. 3분기에 채권 추가 발행 예정. 공급양 늘어 가격 떨어질 수 있음.
- 채권 up, down 요소들이 섞여 있음.
- 금리 추이 (FOMC, 파월) 그 임원들이 금리를 결정하는 것임. 지금 금리 결정한느 것과, 앞으로의 금리 어케할래라는 설문도 받는다. 그 19명이 예상하는 건, 올해 55% > 내년 4%, 내후년 3% 답변 --> 금리 내려가는 만큼, 채권 수익이 오르면 된다고 봄
- 9월 18일 발표 예정. 0.5% 하락 예정 (현재 미국 기준금리 5.5%) > 즉, 3%로 곧 정착할텐데, 비슷했던 22Y08M의 가격을 보면, TLT ETF의 경우 당시 120, 현재 92 정도임. > 그 때로 돌아간다면 수익실현 추정할 수는 있다. (30% 정도, 26Y12M 정도) --> 그 대상은 (주식 아닌) 미국 국채
- 신흥주: 브라질 국채 변동성 크고, 비과세라, 리스크 돈 투자 검토
- 반도체 (시스템 반도체 = 연산능력, 메모리 반도체 = 기억능력, 파운드리 = 생산 공장)
- HBM: 적층/계층형으로 수율 이슈 있음. (여기서 올해 삼성 << 하이닉스)
- 밸류체인 = 설계 > 웨이퍼 생산 > 패키징, 테스트 > 판매, 유통
- 종합 반도체 기업 (IDM) ㅁ > ㅁ> ㅁ> ㅁ 다함
- IP기업(칩리스) ㅁ > _ > _ > _ = ARM, synopsys
- 팹리스(설계) ㅁ > ㅁ > _ > _ = nVidia, ADM, Qualcomm, Apple, Mediatek
- 파운드리 _ > ㅁ > ㅁ > _ = Samsung, tsmc, ...
- 등등
- 지금은 AI 사업 자체보다 (금광에 리바이스 청바지 파는) 엔비디아가 수혜를 보는 중. > AI가 인구고령화 등에 대항하는 미래 기술로 부상
- 반도체 = 메모리 + 시스템 + 파운드리 + 장비
- 삼성같은 메모리 반도체는 팔리는 시기가 정해짐. 해당 RAM이 들어간 핸드폰이 새로 출시한다던가 그럼. 그래서 업&다운이 있음. (용량이 256gb vs. 526Gb 봤을 때, 클라우드도 있고해서, 사용자들 적은 것 선택)
- 반대로 연산과 AI 지능화가 필요한 시스템 반도체는 펀더멘털리 수요가 훨씬 크다. 기술 개발이 될 수록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. (인텔, 퀄컴, AMD, 엔비디아, 브로드컴 a.k.a. fabless)
- 추천 상품 중, 기술-통신-IT 결합되는 펀드 있었음
- 밸류체인 앞이 오르면, 뒤도 오르므로, 패키징.
- 트럼프: 하반기 중요한 키워드
- 민주당 > 해리슨 부통령
- 제조업, 자동차 관세 장벽, 금리 인하
- 1기 때, Reshore > reshoring : 파도쳐서 기본으로 돌이키겠다. 1-2-3차 산업을 우리가 모두 끌어오서 독점하자 (esp. 뉴밸런스 공장 이런 것, 미국의 생산기지를 다시 미국 내로.)
- 전기차 반대 기조. 전기차 100%면 도시 전기 끊긴다. 에너지 사업 다시 비중 업.
- AI도 "맨해튼 프로젝트" 처럼 내부 개발 하겠다. AI전문가면 이민 오픈
- 대만에 방위비 청구서 -> tsmc -3%
- 법인세율 대폭 하락 (개인 최고구간 40 > 37%, 법인 최고 구간 35 > 21%)
- 대신에 관세를 올려서 조세 확보
- 사실 연방정부 수입 = 개인소득세 50%, 사회보장/메디케어 35%, 법인세 10%, 관세 1% (과연 관세로 커버 가능? 결국 채권찍어내서 해결하지 않을까? 트럼프는 어떻게 하려나?)
- 중국은 GDP 26%가 내수고, 내수가 엄청 큰 비중. 중국 부동산 지수 엄청 떨어짐. 부채가 많음. 리스크임. 언제 터질까? 어떻게 이게 해결될까? 제조업 지수도 안 좋음. (신규 주택 가격 낮아지고, 주택 재고는 늘어나고 있음) > 중국 투자 하지마. 발 빼자.
- 정리:
- IRA 재개정 > 친환경(전기차/배터리) down
- 개인/법인 세율 인하 > 제조 서비스 up
- 바젤3 자본규제 완화 > 투자은행 up
- 공격적 증산, 유가 인하 > 에너지, 석유기업 up
- 인도 : 단기, 중기, 중장기, 초장기 다 좋다...
- 신흥국. 모두 성장통을 겪는다.
- 인구 작년 역전. 전세계1등. (1,2등인 인도/차이나와 3위 미국과 격차 엄청 큼) 인도 17억명 육박 (2번째 아내 자식은 등록을 안하기에, 실제로 더 많음. 한편, 중국은 통계를 모두 믿을 수가 없다.)
- 중국 인건비 올라, 중진국 느낌. 인도가 여전히 낮다. 델리 평균 100 USD, 뭄바이 83 USD, 첸나이 51 USD, 콜카타 70 USD
- 게다가 25세 미만 42%, 64세 이전 50% > 젊다. > 재벌집 막내아들 느낌으로 과거 한국 투자?!
- 주식시장 시가 총액이 4등이 됨 (미국 > 중국 > 인도 > 일본 > 홍콩) : 인도가 중국 제낄 수 있음. 2028년 예상. 게다가 친미 국가임.
- CEO, MS 사티아 나델라, Alphabet, 스타벅스, Adobe 모두 인도인. IIT 공대 > 실리콘밸리 테크트리
- 미국과 정반대 시차라. 미국-인도 쌍두마차로 IT 운영하기가 좋다. 24시간 근무/운영 체재 가능.
- CONS: 인프라 너무 안좋음. 지방 정권 강함.
- PROS: 모히 총리가 중앙 정권 드라이브, 현재 인프라 투자 중. (GDP 대비 인프라 투자 예산 2.7%까지 up), 재정적자가 줄고 있음.
- 포폴 3~6개월
- 인도 20%, 나스닥 20%, S&P 30%, 중장기 30% 정도...
- W부 = (I소득 - E지출) x (1+r수익율)*n기간